오늘은 무엇을 배우게 될까요?
우리는 매일같이 주소창에 www.google.com이나 www.naver.com을 입력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어요.
그런데 정말 신기하지 않나요?
전 세계 수십억 개의 사이트 중에서 딱 그 주소로 정확히 접속되는 걸 보면요.
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주인공이 바로 오늘의 주제, DNS(Domain Name System)입니다.
오늘은 DNS가 하는 역할, 작동 방식, 인터넷 주소가 어떻게 숫자로 바뀌는지, 그리고 왜 중요한지를 함께 배워보겠습니다.
도메인 이름은 주소가 아니다?
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할 때 도메인 이름(domain name)을 이용해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예: www.kakao.com, www.youtube.com, chat.openai.com
하지만 컴퓨터는 이런 문자를 이해하지 못하고, 숫자로 된 주소(IP 주소)만 이해할 수 있어요.
그래서 도메인을 IP 주소로 바꿔주는 작업이 필요한데, 이걸 맡고 있는 시스템이 DNS입니다.
DNS란 무엇인가요?
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줄임말로,
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.
예시
- 입력: www.naver.com
- 결과: 223.130.200.104
DNS는 우리가 쓴 도메인을 실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로 “해석(resolve)”하는 역할을 해요.
DNS의 작동 과정은 어떻게 될까?
DNS가 작동하는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사용자가 도메인 입력
- 브라우저 주소창에 www.naver.com 입력
- 캐시 확인
- 먼저 내 컴퓨터나 브라우저가 이전에 조회한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지 확인
- 있으면 바로 IP 주소 반환 (가장 빠름)
- 로컬 DNS 서버 요청
- 없다면, 내가 사용하는 인터넷 제공업체(ISP)의 로컬 DNS 서버에게 물어봄
- 계층적 검색 시작
- 로컬 DNS 서버도 모르면, 위로 올라가면서 단계적으로 찾아나감:
- Root DNS → .com 서버 → naver.com 서버
- 로컬 DNS 서버도 모르면, 위로 올라가면서 단계적으로 찾아나감:
- 정답 도달
- 최종적으로 www.naver.com이 어떤 IP 주소인지 찾아냄
- 응답 반환
- 찾은 IP 주소를 사용자 컴퓨터에 알려줌
- 컴퓨터는 해당 IP로 접속하고, 웹페이지가 열림
DNS 작동 흐름 요약
단계설명
1단계 | 주소창에 도메인 입력 |
2단계 | 캐시 확인 (브라우저, 운영체제, ISP) |
3단계 | 로컬 DNS 서버에게 질의 |
4단계 | Root → TLD → Authoritative DNS 순서로 조회 |
5단계 | 최종 IP 주소 반환 |
6단계 | 웹사이트에 연결 시작 |
왜 DNS가 중요할까?
- 사용자 편의성
- 복잡한 숫자 IP 대신 기억하기 쉬운 이름 사용
- 예: 172.217.161.132 대신 google.com
- 인터넷 확장성
- 전 세계 수십억 개의 웹사이트를 안정적으로 연결
- 계층 구조 덕분에 빠르게 검색 가능
- 보안과 필터링
- DNS 차단: 정부나 학교에서 특정 사이트 차단 가능
- DNS 보안 확장(DNSSEC): 위조 방지
- 속도 향상
- 가까운 위치의 DNS 서버가 빠르게 응답
- 자주 쓰는 사이트는 캐시에 저장
캐시(Cache)는 왜 쓰일까?
DNS 요청은 빠르지만, 반복될수록 부담이 됩니다.
그래서 브라우저나 운영체제, 공유기 등은 DNS 결과를 일정 시간 저장해두고 재사용해요. 이를 DNS 캐싱이라고 합니다.
예시
- 처음 www.google.com 접속 시 DNS 요청 발생 → 결과 저장
- 다음에 또 접속할 땐 저장된 결과 바로 사용 → 빠름!
실생활 비유로 이해해보자
- 도메인 이름 = 친구 이름
- IP 주소 = 친구 전화번호
- DNS = 전화번호부
내가 “민수한테 전화 걸어줘”라고 말하면,
스마트폰은 연락처(전화번호부)에서 민수의 번호를 찾아 걸어주죠.
인터넷도 마찬가지로, DNS가 이름을 번호로 바꿔줘야 정확히 통신이 시작됩니다.
DNS 관련 용어들
용어설명
DNS 서버 | 도메인을 IP로 변환해주는 컴퓨터 서버 |
DNS 쿼리 | “이 도메인의 IP 뭐야?”라고 물어보는 요청 |
DNS 캐시 | 한 번 조회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해둔 것 |
Root DNS | 전 세계 DNS의 출발점 (13개 존재) |
TLD 서버 | .com, .kr, .org 등 최상위 도메인 정보 담당 |
권한 있는 DNS | 도메인의 실제 IP를 가지고 있는 최종 서버 |
한 줄 요약
👉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로, 사람이 친 도메인 이름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IP 주소로 바꿔주는 시스템입니다.
'IT 초보 탈출 100일 챌린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39 TCP/IP 4계층 모델 _ 인터넷은 층층이 흘러간다 (1) | 2025.05.14 |
---|---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38 HTTP와 HTTPS의 차이 _ 인터넷에서 안전하게 대화하는 법 (2) | 2025.05.09 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36 IP 주소와 도메인 네임의 차이 _ 컴퓨터의 주소는 어떻게 생겼을까? (2) | 2025.05.05 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35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 _ 코드를 실행하는 두 가지 방식 (6) | 2025.05.05 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34 TCP vs UDP 신뢰와 속도의 싸움 (2) | 2025.05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