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!
저번 시간에는 알고리즘의 기본 개념을 요리 레시피에 비유해서 알아봤는데요
오늘은 조금 더 난이도 있는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볼게요!
어렵게 느껴지더라도 걱정마세요
최대한 쉽게 설명해드릴게요! 😊
💡 기본 정렬을 넘어선 퀵 정렬 (Quick Sort)
퀵 정렬이란?
퀵 정렬은 '분할 정복' 방식을 사용하는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이에요.
이름처럼 상당히 빠른 편이라 실제로 많이 사용돼요!
실생활 예시: 책 정리하기
도서관 사서가 책을 정리하는 방법으로 생각해볼까요?
- 기준점(피벗) 정하기: "ㅎ"으로 시작하는 책을 기준으로 삼아요
- 분류하기:
- "ㅎ" 앞 글자로 시작하는 책은 왼쪽에
- "ㅎ" 뒤 글자로 시작하는 책은 오른쪽에
- 재귀적 분류: 각 그룹 내에서 다시 기준점을 정해 분류해요
- 완성: 모든 책이 정렬됐어요!
특징
퀵 정렬의 가장 큰 장점은 평균적으로 매우 빠른 속도를 보인다는 점이에요.
대부분의 상황에서 다른 정렬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하죠.
하지만 이미 정렬된 데이터나 거의 정렬된 데이터에서는 최악의 경우 느려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요.
일반적인 경우 시간 복잡도는 O(n log n)으로, 대량의 데이터를 다룰 때도 충분히 빠른 성능을 보여줍니다.
🔍 빠른 검색의 핵심, 이진 탐색 (Binary Search)
이진 탐색이란?
정렬된 데이터에서 원하는 값을 찾는 효율적인 방법이에요.
매번 검색 범위를 절반으로 줄여나가는 방식이죠.
실생활 예시: 사전에서 단어 찾기
두꺼운 국어사전에서 '바나나'라는 단어를 찾는다고 생각해볼게요.
- 사전의 중간 부분을 펼쳐요
- 펼친 페이지에 '마'로 시작하는 단어가 있어요
- '바'는 '마' 뒤에 있으니 뒷부분에서 찾아야 해요
- 뒷부분의 중간을 다시 펼쳐요
-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범위를 좁혀 '바나나'를 찾아요
특징
이진 탐색은 매우 빠른 검색 속도를 자랑하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.
한 번 비교할 때마다 찾아야 할 범위가 절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에서도 효율적으로 작동해요.
다만 데이터가 미리 정렬되어 있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어요.
정렬되지 않은 데이터에서는 사용할 수 없죠.
시간 복잡도는 O(log n)으로, 데이터가 10배 늘어나도 비교 횟수는 약 3번 정도만 증가하는 매우 효율적인 알고리즘입니다.
🚗 최단 경로 찾기,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(Dijkstra's Algorithm)
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란?
그래프에서 한 지점에서 다른 모든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에요.
실생활 예시: 네비게이션 경로 찾기
집에서 회사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찾는 상황을 생각해볼게요.
- 출발점(집)을 설정해요
- 집에서 직접 연결된 모든 교차로까지의 거리를 계산해요
- 가장 가까운 교차로를 선택해 방문 표시를 해요
- 그 교차로를 통해 다른 교차로로 가는 경로가 더 짧아지는지 확인해요
- 3-4단계를 반복해 모든 교차로에 대한 최단 거리를 찾아요
- 최종적으로 회사까지의 최단 경로가 완성돼요!
특징
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의 가장 큰 장점은 두 지점 사이의 최단 경로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.
실제 길 찾기 앱이나 네트워크 라우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어요.
단점으로는 모든 간선의 가중치가 반드시 양수여야 한다는 제약이 있어요.
음수 가중치가 있으면 정확한 결과를 보장할 수 없죠.
속도는 일반적으로 O(E log V)로, E는 간선(길)의 수, V는 정점(교차로)의 수를 나타냅니다.
💰 문제를 쪼개서 푸는 동적 프로그래밍 (Dynamic Programming)
동적 프로그래밍이란?
큰 문제를 작은 부분 문제로 나누고, 각 부분의 결과를 저장해 재활용하는 방법이에요.
실생활 예시: 최소 동전 개수 문제
670원을 동전으로 거슬러 줄 때, 최소한의 동전 개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볼게요.
가능한 동전은 500원, 100원, 50원, 10원이라고 해요.
- 각 금액(1원~670원)에 대한 최소 동전 개수를 저장할 표를 만들어요
- 10원부터 시작해 각 금액마다 계산해요:
- 10원: 10원 동전 1개 (최소 1개)
- 20원: 10원 동전 2개 (최소 2개)
- 50원: 50원 동전 1개 (최소 1개)
- 60원: 50원 동전 1개 + 10원 동전 1개 (최소 2개)
- ...
- 이런 식으로 670원까지 계산하면:
- 670원 = 500원 1개 + 100원 1개 + 50원 1개 + 10원 2개 (총 5개)
특징
동적 프로그래밍의 가장 큰 장점은 계산 결과를 저장해두고 재활용함으로써 중복 계산을 피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
피보나치 수열이나 최적 경로 찾기 같은 문제에서 엄청난 효율 향상을 가져올 수 있어요.
단점으로는 모든 부분 문제의 결과를 저장해야 하므로 메모리를 많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.
주로 최적화 문제나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 문제에 널리 활용됩니다.
🌲 계층 구조 탐색, 너비 우선 탐색(BFS)과 깊이 우선 탐색(DFS)
BFS와 DFS란?
그래프나 트리 구조에서 모든 노드를 방문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이에요.
실생활 예시: 회사 조직도 탐색
회사의 모든 직원에게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방법을 생각해볼게요.
BFS (너비 우선 탐색)
- CEO부터 시작해요
- CEO의 모든 직속 부하(부사장들)에게 먼저 전달해요
- 그다음 모든 부사장의 직속 부하(팀장들)에게 전달해요
- 이런 식으로 같은 계층을 모두 방문한 후 다음 계층으로 넘어가요
DFS (깊이 우선 탐색)
- CEO부터 시작해요
- 첫 번째 부사장에게 전달해요
- 그 부사장의 첫 번째 팀장에게 전달해요
- 그 팀장의 첫 번째 팀원에게... 이런 식으로 한 경로를 끝까지 탐색한 후 다시 돌아와 다른 경로를 탐색해요
특징
BFS는 출발점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차례대로 탐색하기 때문에 최단 경로를 찾는 문제에 특히 유용합니다.
모든 경로를 동시에 탐색하는 느낌이죠.
반면 DFS는 한 경로를 끝까지 탐색한 후 다른 경로로 넘어가기 때문에
모든 경로를 완전히 탐색해야 하는 문제나 경로의 특성을 조사하는 문제에 적합합니다.
두 알고리즘 모두 시간 복잡도는 O(V+E)로, V는 정점의 수, E는 간선의 수를 나타냅니다.
✍️ 오늘의 IT 초보 탈출 한 줄 정리
"고급 알고리즘도 결국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! 실생활 예시로 이해하면 훨씬 쉬워져요!"
여러분의 IT 초보 탈출을 응원합니다! 🎉
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~
'IT 초보 탈출 100일 챌린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20 데이터를 담는 그릇, 자료구조의 세계 🧱 (1) | 2025.03.19 |
---|---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19 알고리즘의 효율성 -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⏱️ (2) | 2025.03.14 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17 알고리즘과 컴퓨터의 요리 레시피 🍳 (1) | 2025.03.10 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16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- 컴퓨터의 두 얼굴 💻 (1) | 2025.03.07 |
[100일의 IT 초보 탈출] #15 사물인터넷(IoT), 우리 곁의 똑똑한 기기들 (6) | 2025.03.05 |